즐겨찾기 설정

[정보-주변기기] 240헤르츠 엘지 모니터 27GN750 인풋렉 측정스

https://youtu.be/ALQtAJwVddg

IMG20210503021528.jpgIMG20210503021521.jpg

IMG20210503021515.jpg

 

HDMI 신호부터 화면까지 얼마나 걸리는지 측정해주는거임!

화면은 윗줄부터 아랫줄까지 순서대로 갱신되기 때문에 위는 엄청 빠르고 아래는 제일 느림

 

정리하면

Top: 2.0 ms (평균)

Bottom: 17.0 ms (평균)

 

내가 실험실에 있던 모니터들 측정해봤었는데

 

벤큐 xl2411 144hz 모니터가

Top: 0.7 ms (평균)

Bottom: 15.5 ms (평균)

 

벤큐 xl2546 240hz 모니터가 (정확하지 않은 데이터임, 기록 남은게 없어서, 내 기억뿐)

Top: 4.0 ms (평균)

Bottom: 22.0 ms (평균)

 

CRT 모니터가

Top: 0.4 ms (평균)

Bottom: 15.0 ms (평균)

 

시간 측정이 엄격한 심리 실험에서는 CRT 모니터가 아직까지도 쓰이는데, 인풋렉 때문임.

이거 대용으로 쓰이는게 xl2411.

240hz 모니터는 사놓고 안씀 인풋렉이 길어서.

 

어쨌든, 측정했다. 끝!

 

 

댓글 23

키보드장사꾼 작성자 2021.05.03. 10:41
 맨체스터유나이티드
마케팅에서 쓰이는 표준 인풋렉 1ms! 이런건 진짜 hdmi 신호부터 ad 보드에서 처리되는데까지 걸리는 시간일수도 있는데
이건 LCD 소자가 블랙에서 화이트로 바뀌기까지 시간까지 재기 떄문에
모니터라는 단독 시스템 자체의, HDMI 인풋에서 시작해서 내 눈에 들어오기까지의 시간임.
엄밀히 말하면 마케팅에서 쓰이는 인풋렉 + BTW 소자 바뀌는 시간 = 내가 잰 수치
댓글
키보드장사꾼 작성자 2021.05.05. 10:23
 맨체스터유나이티드
ㄴㄴ BTW + 인풋렉입니다
GTG는 회색에서 회색이라 그거 실사용에서보다 훨씬 빨리 나오는 수치임
이 화면은 검정 하양이 깜빡거리기 때문에 BTW
댓글
키보드장사꾼 작성자 2021.05.03. 10:46
 맨체스터유나이티드
소자의 반응속도는 Grey to Grey가 Black to White 보다 빨리 바뀌기 때문에 마케팅자료로 채용되는점 유의하셈!
댓글
키보드장사꾼 작성자 2021.05.03. 10:47
 섹스.
5msec 차이는 거기서 거기 아닌가? 싶긴 해요~
Ad보드 신호처리에서 오는 속도차이보다는 IPS 패널보다 TN 패널의 반응이 더 빠른게 아닌가 싶어요
벤큐꺼나 엘지꺼나~
댓글
키보드장사꾼 작성자 2021.05.03. 10:49
찾아보니까 GTG 5msec 나오는 모니터는 BTW 25 msec 나온다는 글이 있네, 신뢰성은 모르겠지만.
마케팅 자료에서 나오는 수치랑 여기 수치가 차이가 나는 이유가 아주 대강은 설명 되는구만
https://superuser.com/questions/738414/difference-between-gtg-and-btw-response-time-estimation-of-displays#:~:text=BTW%20(Black%20to%20White)%20used,method%20of%20measuring%20response%20time.&text=GTG%20(Grey%20to%20Grey)%20method,results%20in%20lower%20response%20times.
댓글
키보드장사꾼 작성자 2021.05.03. 10:56
 타미힐피거
ㄹㅇ... 2411 출시 시기 생각해보면 프로들이 쓴 이유가 이건가 싶더라구
댓글
키보드장사꾼 작성자 2021.05.03. 10:56
 녹두로
무겁긴 드럽게 무거워가지고 스탠드 플라스틱 가만히 냅두면 알아서 부서짐....
돼지쉑
댓글
녹두로 2021.05.03. 10:57
 키보드장사꾼
ㅋㅋㅋㅋㅋㅋ
댓글
아라갓키유이 2021.05.03. 11:37
혹시 hdmi나 dp 케이블 차이로도 인풋렉이 다를수도 있나요?
댓글
키보드장사꾼 작성자 2021.05.03. 12:00
 아라갓키유이
충분히 가능합니다.
다만, 역량 있는 제조사들에서 내놓은 모니터에서
디지털 신호를 색으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가장 시간이 오래걸리는 작업은 소자의 색변환입니다.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로 바꿔주는 컨버팅 과정에서, HDMI 냐 DP냐에 따라 그 작업이 오래 걸릴수도, 짧게 걸릴수도 있겠지만
그렇게 큰 차이는 아니라고 봅니다. 마케팅 자료에서 흔히 쓰이는 1ms 인풋렉은 AD 보드의 Digital to Analog 신호 변환일거에요
아날로그 신호를 받고 소자가 바뀌는 시간이 오래걸리는거죠

테레비에서 색감 조절을 해주면 인풋렉이 늘어나는데, 이는 AD 보드단에서 색감을 조정하는만큼 프로세싱 시간이 오래 걸리기 떄문이거든요
게이밍 모니터에서는 색감 조절을 해주지않고 바이패스로 표시해주면서 이러한 딜레이를 없애고 있습니다.
그래서 초창기 벤큐의 모니터는 색감이 구리다 라는 의견이 팽배했구요.
댓글
풀미히 2021.05.03. 13:52
16ms 넘어가면 체감 되지않나
댓글
키보드장사꾼 작성자 2021.05.03. 14:35
 풀미히
이건 제가 자세하게 말씀드릴수 있음 이거 관련해서 논문도 썼기 떄문에
인간은 손으로 무언갈 조작하고 나서, 모니터에서 나오는 시각정보를 받아들이기 까지의 딜레이가 100 ms이 넘어가면 확실하게 느리다고 느낍니다.
(Farrer, et al. 2008) 논문 찾으셔서 교차하는 지연시간 봐보시면 됨

마우스 좌클릭을 해서 모니터에서 총을 쏠떄까지의 지연시간이 100ms을 넘으면 진짜 개느리다는건데
100 ms은 일반인 기준이고
보통 여기서 더 들어가서 게이머 같은 경우 30 ms 지연시간 차이가 실제 fps 퍼포먼스에 영향을 준다는 엔비디아 논문도 있어요
Spjut, et al. 2019

중요한건, 몇 ms 부터 게이머는 알아차리기 시작하는가에 관한 통계적 겨론은 내리기 어려워요
게이머만 모으는 실험 자체가 어려워서 (엔비디아 정도만 가능한데, 엔비디아는 인지심리를 다루지 않기 때문에 깊이 들어갈까? 싶기도 하구요)
위의 Spjut, et al. 2019 같은 경우도 240 헤르츠 360 헤르츠 모니터의 당위성을 나타내기 위해 연구한거라 인풋렉의 "감소" 의 효과만 조사했지
몇 ms 부터 인지하기 시작하는가는 조사하지 않았거든요

마우스 -> 본체 -> 네트워크 -> 본체 -> 모니터 전체시스템을 다 봐야하긴 하는데

모니터라는 관점에서만 봤을때 16 msec이면 다른 여타 모니터와 비교해서 빠르긴 하니까 상대적으로 좋긴 좋다만

네트워크 핑이 20 (20 msec) 이라고 친다면,
20+16+마우스+본체 가 전체 지연시간이 되겠네요

콘솔게임 같은경우 프레임 안정화 시키기 위해 프레임 버퍼에 프레임을 미리 뒀다가 뿌렸기 떄문에 인풋렉이 더 있었음에도 잘 썼던걸 생각하면
진짜 하드 게이머 아니면 사실 100 ms 안에서는 큰 신경 안쓴다는게 제 의견입니다.

다시 말씀드리지만 여기서 나타내는 ms은 손으로 마우스 좌클릭을 할때부터 모니터로 정보를 뿌려줄때까지의 지연시간이에요
댓글
풀미히 2021.05.03. 14:44
 키보드장사꾼
오...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저는 보통 사양에 표기되는 인풋렉 기준으로 말씀드렸어요
20ms를 쓴적이 있는데 기분탓인진 몰라도 느껴지더라구요
댓글
키보드장사꾼 작성자 2021.05.03. 14:49
 풀미히
사양에 표기되는 모니터 인풋렉은
HDMI 나 DP 프로토콜로 받은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바꾸어 전압신호를 소자에 전달하기까지의 인풋렉일수도 있고,
마케팅 목적에 따라 정확한 정의는 갈립니다.
특히 소자 반응속도는 Black To White 속도가 25 ms일때 Grey To Grey 는 5 ms이 나온다는 썰도 있을 정도로 GTG가 더 빠른 "숫자"가 나오고,
이때문에 마케팅 목적으로 박스에 표기됩니다.

이런 맥락에서 박스에 16ms 가 써있다면, 그건 아무래도 사무용이겠네요. 아무리 작은 숫자를 도출해도 16 인셈이니까요

기술적으로 얼마나 지연시간이 있는가와는 조금 다른 얘기가 되는거 같네요

박스에 20ms가 써있었다면, 실제 지연시간은 더 있을지 모릅니다. 표기상의 스펙은 정의에 따라 숫자의 의미도 달라지니까요
댓글
키보드장사꾼 작성자 2021.05.03. 14:43
 풀미히
사실 더 엄격하게, 조작성을 잃어버리는 지연시간은 300 ms 근방입니다. farrer 논문 보면 300 msec 부터 조작성을 완전히 소실해요
댓글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 하시겠습니까?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필독] 플레이어스 디갤 장터 규정 18 RealmiND 7664 18
[공지] 통합 디지털 갤러리 규정집 (2022년 1월 11일) 19 이리야스필 10757 18
[정보-주변기기]
이미지
Sso! 172 8
[정보-주변기기]
이미지
서풍이불어온다 104 6
[정보-주변기기]
이미지
Sso! 175 13
[정보-주변기기]
기본
고양이 93 3
[정보-주변기기]
이미지
Sso! 303 16
[정보-주변기기]
이미지
Sso! 140 5
[정보-주변기기]
이미지
Sso! 95 5
[정보-주변기기]
이미지
실아가쌰언하다 68 2
[정보-주변기기]
기본
타미힐피거 284 12
[정보-주변기기]
기본
HUGE 78 3
[정보-주변기기]
이미지
Sso! 299 19
[정보-주변기기]
이미지
Sso! 169 6
[정보-주변기기]
이미지
키보드장사꾼 319 17
[정보-주변기기]
이미지
키보드장사꾼 130 6
[정보-주변기기]
이미지
키보드장사꾼 386 21
[정보-주변기기]
이미지
luve 94 4
[정보-주변기기]
이미지
키보드장사꾼 66 5
[정보-주변기기]
이미지
키보드장사꾼 127 5
[정보-주변기기]
이미지
키보드장사꾼 236 10
[정보-주변기기]
이미지
Glenfiddich 211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