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설정

문학/도서 여자 없는 남자들을 읽고

KakaoTalk_20230829_210633155.jpg

 

 

위에 올린 사진은 종이커버를 벗긴 책 바깥면.

 

이게 좀 더 매트한 느낌에 내용과 어울려서 이 사진을 씀.

 

 

이 책을 관통하는 단어는 '관계'다.

 

이 책은 대체적으로 '여자'를 통해 '관계'를 이야기한다.

 

 

남자에게 있어서의 여자를 '관계'의 본질로 규정하고,

 

그 관계를 위한 '본능', '기억', '삶' 등을 이야기한다.

 

 

첫 작품이자 가장 유명한 '드라이브 마이카'에서는, 젊은 여성 운전자와의 대화를 통해,

 

죽은 아내가 맺었던 불륜관계가, 본질적으로 아내를 대할 때마다 '연기'를 했던 자신과 개별적인간으로 동일하다는 이야기를 한다.

 

개별적인 인간이기에, 모든 인간은 서로가 이해할 수 없는 '병'에 걸리고, 결국 상대를 온전히 이해하기는 어렵다는 것.

 

내가 타인에 대해 고민한다는 것은 결국 '나'를 조금 더 알아내기 위해 노력한다는 것이라는 말을 통해, '인간의 개별성'을 이 소설은 이야기한다.

 

 

두번째 작품 '예스터데이'에서는 여자친구를 공유하는 행위를 통해 자신과 여자친구와 관계를 규정해보려했던,

 

결국 이에 대해 분노한 여자친구가 다른 사람과 섹스를 하자, 자신의 마음을 정리하고 곁을 떠난,

 

하지만 연락을 영원히 끊지 않고, 그정도 관계에 머무는 사람의 이야기를 하고 있다.

 

 

세번째 작품 '독립기관'은 늘 스스로를 완벽하게 관리한다고 착각하며 사는 사람이,

 

오롯이 '한 여자에게 빠져들었을 때' 어떻게 파멸하는지를 보여준다.

 

완벽하다고 생각하기 위해 모든 것들을 아슬아슬하게, 절묘하게 관리하던 남자의 틈에,

 

미칠듯이 사랑하는 여자가 들어오게 되고,

 

그 남자는 사랑인 벌인 틈을 스스로 견디지 못해 파멸한다.

 

피상적 관계가 진실된 관계로 변질되었을 때, 그러나 상대방이 이를 받아주지 않을 때, 이를 견디지 못하는 쪽의 굉장한 결말이다.

 

 

네번째 작품 셰에라자드에서는, 

 

무슨 이유에선가 고립되어져버린 남자가, 주 2회 정도 규칙적으로 찾아오는 여자와 섹스를 하고, 그 여자에게서 재밌는 이야기를 들으며,

 

세상과의 관계를 이어나간다는 내용이다.

 

그 여자는 알 수 없는, 이해되지 않는 이야기를 하지만, 그것이야 말로 관계의 본질이라는 것.

 

인간은 바닥에 붙은 칠성장어처럼, 자신의 눈으로 세상을 관조하다, 이따금 상대에게 천착한다는, 그런 관계의 본질을 이야기하고 있다.

 

 

다섯번째 작품 '기노'에서는,

 

아내가 불륜으로 떠나고 나자, 가게를 열게 된 기노는, 여자가 없을 때는 잘 살지만,

 

결국 다른 여자를 만나게 되자, 그간의 고독과 슬픔이 오롯이 다가온다는,

 

즉, 끊어진 관계가 다른 관계로 맺어지려할 때 찾아오는, 그때의 아픔과 고독은 영원히 남는다는 이야기를 하고 있다.

 

 

여섯번째 작품 '사랑하는 잠자'에서 잠자는, 카프카의 변신에 나오는 그레고리 잠자이다.

 

어느날 눈을 떠보니 그레고리 잠자가 되어버린 그는, 

 

본래의 자신이 무슨 생물이었으며, 인간이 어떻게 살아가는지 처음부터 배워나간다.

 

세상은 자신이 느끼는 것이 전부라는, 자신이 받아들여지고, 받아들이는 방식이 진실이라는 이야기를 변신과 뒤집어놓고 이야기한다.

 

그가 깨어난 세상은 모든 것이 변하고 있는 세상.

 

그 세상이 의미하는 것은, 잠자로서 살아갈 세상은 새로운 세상이라는 것을 의미하고, 

 

이 역시 모든 세상은 (사실 소설처럼 역동적이지 않더라도) 자신이 받아들이는 것이 전부라는 이야기를 한다.

 

그 와중에서도 나타난 열쇠수리공 여자는, 자신을 세상과 연결시켜줄 고리이며,

 

그의 발기는 세상과의 관계에서 단 하나 변하지 않는 것은 본능이란 것을 이야기한다.

 

그 본능은 인간의 본성인데, 인간의 본성을 발기로 표현한 것은 어찌보면 겨우 이것 하나라는 생각을 들게하며, 어찌보면 이것만 들고 세상으로 나아간다. 라는 의미라 생각했다.

 

 

마지막 작품 '여자 없는 남자들'은 사랑을 통해 관계의 본질에 대해 이야기한다.

 

관계라는 것은, 그저 머무는 관계가 아닌 정적인 (한사람에게 빠져드는, 혹은 이 소설대로 표현하자면 진정한) 사랑은,

 

떠난 뒤 그 생채기를 낸다는 것.

 

그리고 그 생채기는 영원히 잊혀지지 않는 다는 것을 27페이지를 들여, 섬세하게 표현했다.

 

'여자 없는 남자들'이라는 복수형의 표현은, 진정한 사랑과 이별을 맞이할 때마다 '여자 없는 남자'가 되어가고,

 

한 남자가 겪는 이별은 한가지가 아닐 확률이 매우 높기에 복수형이 되어버린다.

 

여자가 없는 남자들이기에 사랑에 힘들어하고, 그 생채기를 안고 몇번의 연애를 한다.

 

 

 

이 소설에서 가장 좋았던 소설이 두편이었는데, 하나는 '드라이브 마이카'였고, 또 하나는 '여자 없는 남자들'이었다.

 

드라이브 마이카에서는 그 단어의 연결고리, 특히 마지막에 '병'으로 표현한 인간의 개별성이 예술이었다면,

 

여자 없는 남자들에서는, 그 표현력에 감탄을 금치 못했다.

 

관계의 상실을 '여자 없는 남자들'이라는 표현으로 바꾸어놓고 보니, 최소한 남자 독자인 나에게는 더 와닿았으며,

 

우리 갤에 가끔씩 이별에 대해 말씀하시는 분도 생각이 났다.

 

그 분께 강하게 추천드리고 싶은 책이다.

 

 

 

댓글 7

꿀깅이 2023.09.04. 09:46
갠적으로 드라이브 마이카가 너무 각색을 잘해서 그런지

뭔가 기대치만큼 만족스럽지 않았던 단편선이었음

이걸 먼저 읽고 영화를 봤다면 이 책도 좋았을 거 같은데..아쉽
댓글
리나군 작성자 2023.09.04. 10:58
 꿀깅이
글쿤요.
저는 보통은 두개를 같이 안보려해요. 읽은지(혹은 본지) 아주 오래된 이야기라면 몰라도..
같이 봤을 때 두가지 모두 좋았던 경험이 없어요.
댓글
꿀깅이 2023.09.04. 11:02
 리나군
개인적으로 두 가지 다 좋았던 경험은

파트리크 쥐스킨트의 향수랑, 한자와 나오키?? 정도 였던 거 같아요

향수는 영화를 먼저 봤는데 소설본의 몰입도가 미친 것과

한자와 나오키는 소설의 내용에서 가부키를 끼얹으니 나름 생동감이 사는 느낌이라 좋았습니다  ㅎㅎ
댓글
리나군 작성자 2023.09.04. 11:05
 꿀깅이
향수는 취향이 안맞아서 안봤는데, 책이 그렇게들 좋다더라구요.
한자와나오키는 님 말구도 여러 사람이 추천했는데 함 볼까 생각 중.
댓글
꿀깅이 2023.09.04. 11:08
 리나군
향수 몰입도가 진짜 장난 아니긴 해요 호불호 갈릴 거 같긴한데 장미의 이름이랑 더불어 제 최애 작품 투탑입니다 ㅋㅋㅋ
한자와 나오키는 고구마 먹을 시간도 없이 사이다를 들어 붓다보니 그 특유의 과장성이 더 통쾌한 거 같아요
댓글
금개구리 2023.09.04. 13:43
 꿀깅이
저랑 취향이 비슷하시군요!
댓글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 하시겠습니까?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이벤트 마지막 날이니 손글씨 이벤트 운석열 131 11
이벤트 헌혈 이벤트 6 jacksonville 380 18
공지 미디어/도서/음악 갤러리 통합 규칙 8 리나군 840 20
이벤트 도서 구입 / 영화 예매 / 음반 구매 / 공연 및 전시 인증 이벤트 3 리나군 812 7
공지 후원내역 (2024/05/26) 리나군 666 3
공지 추천시 최소한의 정보는 주세요 안녕안녕반가워 964 15
문학/도서
이미지
잼아저씨 40 7
문학/도서
기본
사실은이렇습니다 33 8
문학/도서
기본
잼아저씨 48 8
문학/도서
이미지
리나군 129 14
문학/도서
기본
잼아저씨 39 8
문학/도서
이미지
리나군 22 9
문학/도서
이미지
킹쿤타랑블란쳇 48 8
문학/도서
이미지
스테판무고사 114 14
문학/도서
기본
사실은이렇습니다 86 16
문학/도서
이미지
사실은이렇습니다 34 7
문학/도서
기본
다래 93 13
문학/도서
기본
사실은이렇습니다 27 8
문학/도서
이미지
리나군 108 14
문학/도서
기본
킹쿤타랑블란쳇 93 17
문학/도서
이미지
리나군 21 9
문학/도서
기본
잼아저씨 40 8
문학/도서
이미지
리나군 134 16
문학/도서
기본
리나군 26 6
문학/도서
이미지
잼아저씨 46 9
문학/도서
이미지
리나군 143 17